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당진 면천 역사문화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용역
수탁

당진 면천 역사문화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용역

기간
2011. 03. 24 ~ 2011. 12. 30
연구책임자
박철희
연구자
이승주,심나홍,송지현,임오연,오용준,이상준,권영현,김정연,조봉운,한상욱,김성훈
키워드
당진,면천,역사문화도시,경관계획,읍성,자원조사,경관설계지침,실행방안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당진 면천 역사문화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용역_관리자_20160822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급속한 산업화로 정체성이 약화된 당진 면천 지역에 대해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위상 회복과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경관 형성의 필요성이 대두됨 면천읍성과 주변 경관의 조화를 통해 지역의 고유성을 살린 도시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함
경관 계획은 유도적 수법을 적용해 경관설계지침 주민참여형 경관협정 실천 가능한 사업계획 수립을 중심으로 구성됨 면천면과 순성면 일원을 공간적 범위로 2025년을 목표연도로 설정하고 자연역사문화자원 조사를 포함한 종합적 계획으로 추진함
면천은 조선시대 행정경제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읍성은 당시 성세를 반영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도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자산으로 작용함 교통 요지로서 역할을 했고 풍수지리상으로도 명당 입지를 지녀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상징성이 큼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인구 증가와 행정구역 변화는 면천의 경제적 위상과 사회적 중심성을 보여줌 특히 풍요로운 농업 기반과 해상 교통의 발달은 지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고 이는 오늘날 도시개발 방향 설정의 기준이 됨
지역 주민의 도시 이미지 인식 조사에서는 역사성과 전통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향후 관광자원화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문화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 색채 광고물 공공시설 등 경관구성요소별 설계지침을 도입하여 시각적 정체성을 명확히 할 계획임
기본구상은 경관권역 설정 핵심 거점지구 조성 경관축 개발 등으로 구성되며 실행계획에는 경관조례 개정 주민협정 운영 단계별 사업계획 등이 포함됨 지역 자원의 잠재력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경관 구축을 통해 역사문화도시로 도약을 도모함

목차

Ⅰ 계획의 개요
1 계획 배경 및 목적
2 계획 성격과 범위
3 계획 수립체계
Ⅱ 경관자원 조사 및 경관구조 분석
1 면천 경관형성의 역사적 배경
2 면천 주변지역 경관 일반 현황
3 역사문화 경관자원 현황
4 경관구조 분석
Ⅲ 주민의식 및 이미지조사분석
1 조사 개요
2 면천의 도시 이미지
3 면천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요소
Ⅳ 관련법규 계획 및 사례조사
1 관련법규 계획 조사
2 사례조사
Ⅴ SWOT분석 및 계획과제 도출
1 SWOT분석
2 계획과제 도출
Ⅵ 기본구상
1 경관형성 목표와 전략
2 경관권역 설정과 설계 기본 방향
3 권역별 기본 구상
Ⅶ 구성요소별 경관설계지침
1 건축물 경관설계지침
2 옥외광고물 경관설계지침
3 공공시설물 설계지침
4 색채 경관설계지침
5 주요 가로변 경관디자인 가이드라인
Ⅷ 관리 및 실행계획
1 관리계획
2 실행계획
부록
보고회 및 자문회의 내용
주민설문내용 설문지
색채경관현황조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