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이광영,이영범,윤일)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이광영,이영범,윤일)

기간
2014. 05. 14 ~ 2014. 05. 14
연구책임자
이충훈
연구자
채완석,이광영,고승희,오병찬,방재성,김철명
키워드
공공디자인,충청남도,도시재생,디자인밸리,통합계획,정체성,지역 활성화,마을공동체
다운로드

충남공공디자인센터 미래발전계획 워크숍(2014.5).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1)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중장기 계획 및 전략 충남, 공공디자인으로 자연을 품다(2014.5)_이광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2)충남공공디자인센터 중장기 계획 수립 워크숍 자문의견(2014.5)_이영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3)충남의 공공디자인 중장기 기본계획(2014.5)_윤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공공디자인센터의 중장기 발전계획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방향을 중심으로 도시와 농촌 전반에 걸쳐 통합적인 공공디자인 전략 수립을 목표로 삼는다 디자인을 통해 지역의 자연환경과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공공디자인센터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도시 건축 조경 경관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리자로서의 기능 강화를 통해 각종 정책 및 기획 사업 수행의 허브 역할을 하며 지역 활성화의 촉진자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계획 방향은 탄소저감형 도시환경 조성과 에너지 효율 건축 도입을 포함한 가치지향적 공공디자인이다 정주성과 지역성을 높이는 통합디자인 전략 도시재생 및 마을공동체 중심의 공간 개선 유휴공간 리모델링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제시된다
내포신도시와 공공공간의 연계성 제고 노후 산업유산의 문화자원화 등 지역 고유의 건축문화자산을 활용한 공간 활성화 방안도 포함된다 이는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한다
실행체계 측면에서는 도내 공공디자인 조례의 정비와 센터 조직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 정책지원 두 축 중심의 기존 센터 구조를 확대 개편해 도시 및 농촌의 디자인 역량 강화를 도모한다
장기적으로는 디자인밸리 조성계획이 추진된다 디자인 전문가와 민간기업의 협업을 통해 창업과 생산 마케팅까지 연계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며 지식재산권 확보와 디자인 기반 지역산업 육성을 함께 추진한다

목차

I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중장기 계획 및 전략 충남 공공디자인으로 자연을 품다
II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중장기 계획 수립 워크숍 자문의견
1 센터 중장기 계획의 방향성
2 공공디자인 계획의 지향점
3 공공디자인 계획의 실행체계
III 충남의 공공디자인 중장기 기본계획
1단계 공공디자인 통합관리 체계구축
2단계 통합관리를 위한 센터체계 구축
3단계 디자인밸리 조성
1 디자인 밸리valley 조성
2 도의 현황분석
3 디자인밸리 업무프로세스
4 대책방안
5 예상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