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2013년 제4차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이후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지역의 에너지 수급 현황을 분석하였다 에너지 생산 측면에서는 2010년 이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이 급증했으며 충남의 전력 생산은 전국 발전량의 234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2010년 32에서 2013년 213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는 충남의 차에너지 소비에서 석탄과 석유 비중이 높고 도시가스와 신재생에너지는 낮았다 석탄 소비는 산업용 무연탄과 제철용 유연탄의 급증에 기인하며 전체 소비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2013년 기준 충남은 전국 차에너지 소비의 193를 담당하며 산업부문 중심의 소비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종에너지 소비에서도 충남은 산업부문 비중이 868로 매우 높으며 이는 전남과 울산에 이어 세 번째다 석유와 석탄 중심의 에너지 소비 구조에서 도시가스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중은 여전히 낮다 전력 소비 또한 산업부문에서 777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에너지가 제조업 중심의 산업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원별 소비 변화율을 보면 충남은 석탄 신재생에너지 도시가스의 소비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고 특히 석탄은 20022013년 사이 연평균 537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가정 및 공공 부문에서의 소비는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산업 중심의 에너지 소비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이 같은 구조는 충남이 전력 석유화학 등 중공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도시가스는 산업부문 소비가 725를 차지하며 가정이나 상업 부문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인다 전력의 경우도 산업부문 소비 비중이 높으며 전력 소비 증가 추세는 산업 활동의 확대와 직접 연관이 있다 전체적으로 충남은 전국 평균보다 산업부문 중심의 에너지 소비 경향이 훨씬 두드러지며 이는 에너지 정책 및 온실가스 감축 전략 수립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다
결론적으로 충남은 에너지 생산에서의 성장은 신재생 중심으로 긍정적인 반면 소비는 석탄과 석유 중심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 산업부문 중심의 소비구조는 경제성장에 기여해왔지만 장기적 지속 가능성과 환경적 부담을 고려해 도시가스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유도가 요구된다
에너지 소비 측면에서는 충남의 차에너지 소비에서 석탄과 석유 비중이 높고 도시가스와 신재생에너지는 낮았다 석탄 소비는 산업용 무연탄과 제철용 유연탄의 급증에 기인하며 전체 소비의 약 90를 차지하였다 2013년 기준 충남은 전국 차에너지 소비의 193를 담당하며 산업부문 중심의 소비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종에너지 소비에서도 충남은 산업부문 비중이 868로 매우 높으며 이는 전남과 울산에 이어 세 번째다 석유와 석탄 중심의 에너지 소비 구조에서 도시가스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중은 여전히 낮다 전력 소비 또한 산업부문에서 777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에너지가 제조업 중심의 산업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원별 소비 변화율을 보면 충남은 석탄 신재생에너지 도시가스의 소비가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고 특히 석탄은 20022013년 사이 연평균 537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가정 및 공공 부문에서의 소비는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산업 중심의 에너지 소비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다 이 같은 구조는 충남이 전력 석유화학 등 중공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도시가스는 산업부문 소비가 725를 차지하며 가정이나 상업 부문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인다 전력의 경우도 산업부문 소비 비중이 높으며 전력 소비 증가 추세는 산업 활동의 확대와 직접 연관이 있다 전체적으로 충남은 전국 평균보다 산업부문 중심의 에너지 소비 경향이 훨씬 두드러지며 이는 에너지 정책 및 온실가스 감축 전략 수립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다
결론적으로 충남은 에너지 생산에서의 성장은 신재생 중심으로 긍정적인 반면 소비는 석탄과 석유 중심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 산업부문 중심의 소비구조는 경제성장에 기여해왔지만 장기적 지속 가능성과 환경적 부담을 고려해 도시가스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유도가 요구된다
목차
I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분석내용
3 요약
1 연구의 필요성
2 분석내용
3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민정
충남도 환경위해시설 과세실현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16) (정종필,이민정) 2017. 03. 17
미세먼지 관련 지자체 역할확대방안 모색 워크숍(홍수열, 이민정) 2016. 08. 08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2024 당진시 자동차산업 국제세미나 2024. 0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