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부여 구드래역사마을 조성 기본계획 타당성 검토
수탁

부여 구드래역사마을 조성 기본계획 타당성 검토

기간
2015. 02. 26 ~ 2015. 05. 26
연구책임자
임형빈
연구자
신동호,이상준,한상욱,김형철,진선미
키워드
부여,구드래,역사마을,타당성검토,관광수요,경제성분석,고도보존,문화유산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부여 구드래역사마을 조성 기본계획 타당성 검토_관리자_20160926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구드래나루는 백제 사비시대의 국제교류 중심지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 이 지역에 한옥 숙박시설 및 문화체험시설을 갖춘 역사마을을 조성함으로써 부여의 백제문화 정체성 계승과 관광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조성 대상지는 부소산성 후문 인근 나대지로 고도보존계획상 사비왕궁지구 내에 위치한다 본 계획은 지방재정법과 투융자심사 매뉴얼을 준용해 정책적 판단과 경제적 타당성 검토를 병행하며 건설 후 30년간의 운영을 고려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상위계획으로는 국토종합계획 충남종합계획 백제역사문화도시 기본구상 등이 있으며 해당 계획들과의 정합성을 확보하였다 부여군은 백제 고도 복원과 관광자원화를 통해 국제적 문화관광지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 구성은 한옥 숙박촌 음식문화체험관 전통장터 백제한류문화원 등을 포함하며 남산골 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공주 한옥마을 사례를 참고해 수요를 예측했다 관광객 수요 추정결과 연간 13만여 명 이상 방문이 가능하다고 평가되었다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서는 편익 대비 비용의 비율BC이 기준 이상으로 나타나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건설 및 운영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긍정적으로 분석되어 부여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가 예상된다
본 사업은 백제 고도 부여의 역사성과 현대적 관광 수요를 접목한 전략적 사업으로 평가된다 단순한 관광지 조성을 넘어 백제문화의 재현과 지역문화콘텐츠의 기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중장기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과업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 과업의 범위
Ⅱ 관련 제도 및 계획 검토
1 지방재정 투융자심사제도
2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3 상위 및 관련계획 검토
Ⅲ 사업 기본계획 검토
1 기본계획 주요내용
2 검토 결과
Ⅳ 관광객 수요 추정을 위한 사례조사
1 사례조사
2 관광객 수요추정
Ⅴ 경제적 타당성 및 파급효과 분석
1 경제적 타당성 분석
2 지역경제 파급효과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