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남의 어촌은 고령화와 과소화로 인해 어업 생산성과 공동체 유지에 위기를 맞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귀어귀촌 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어가소득이 농가소득을 초과한 이후 도시민의 귀어귀촌 관심도 증가했다
충남은 누구나 살기 좋은 풍요롭고 젊은 어촌을 비전으로 안정적인 정착 지원과 지역 활력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5대 추진전략과 19개 세부사업이 제시되었다 주요 전략은 사람 중심 지역역량 강화 청년여성 창업 지원 등이다
정책 성과로는 귀어귀촌 가구 증가 창업 및 주택자금 지원 확대 귀어학교 설립 귀어귀촌지원센터 개소 등 다양한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실질 대출률 저조 업종 편중 중간지원조직 부족 등의 문제도 드러났다
충남 어촌의 현실은 해안선과 도서가 풍부하고 해수욕장과 항만 등 관광산업 자원이 많으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정주 여건 열악 등으로 귀어귀촌 유입을 저해하고 있다
충남 귀어인은 타 지역 대비 여성과 중장년층 비율이 높고 낚시어업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과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등의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향후에는 광역단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청년여성 중심 창업지원 확대 사전 체험과 교육 강화 정착 인프라 개선 등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귀어귀촌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충남은 누구나 살기 좋은 풍요롭고 젊은 어촌을 비전으로 안정적인 정착 지원과 지역 활력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5대 추진전략과 19개 세부사업이 제시되었다 주요 전략은 사람 중심 지역역량 강화 청년여성 창업 지원 등이다
정책 성과로는 귀어귀촌 가구 증가 창업 및 주택자금 지원 확대 귀어학교 설립 귀어귀촌지원센터 개소 등 다양한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실질 대출률 저조 업종 편중 중간지원조직 부족 등의 문제도 드러났다
충남 어촌의 현실은 해안선과 도서가 풍부하고 해수욕장과 항만 등 관광산업 자원이 많으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정주 여건 열악 등으로 귀어귀촌 유입을 저해하고 있다
충남 귀어인은 타 지역 대비 여성과 중장년층 비율이 높고 낚시어업에 편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을 위한 맞춤형 정책과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 등의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향후에는 광역단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청년여성 중심 창업지원 확대 사전 체험과 교육 강화 정착 인프라 개선 등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귀어귀촌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목차
1 연구의 개요
2 귀어귀촌 정의 및 계획 검토
3 충남 귀어귀촌 현황 및 진단
4 정책방향 및 전략
2 귀어귀촌 정의 및 계획 검토
3 충남 귀어귀촌 현황 및 진단
4 정책방향 및 전략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