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 세미나(CNI세미나2019-040)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 세미나(CNI세미나2019-040)

기간
2019. 05. 13 ~ 2019. 05. 13
연구자
이상신,윤수향,김아람
키워드
기후변화,온실가스,감축목표,에너지전환,재생에너지,저탄소 농업 농촌,자원순환,공공부문
다운로드

190513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 세미나 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제2차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전망치 대비 29 감축하여 132백만톤 수준으로 억제하고자 한다 특히 비산업 부문 중심의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가정상업공공수송농축산폐기물 부문을 주요 감축 대상으로 삼았다 이 중 건물 부문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수송과 농업 부문 역시 지역 특성상 중점 관리가 필요하다
충남은 전국 최고 수준의 에너지 소비와 석탄화력발전소 밀집 지역으로서 탈석탄 및 재생에너지 확대를 기조로 설정하였다 태양광과 수소연료전지 보급 사업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가축분뇨 자원화 LED 조명 교체 그린카 보급 등의 생활 밀착형 시책을 포함하고 있다
도민 참여 확대를 위해 탄소포인트제 운영 에너지 절약 교육 무동력 교통수단 활성화 등을 시행하며 탄소흡수 생태계 조성을 위해 도시숲과 바다숲 조성도 병행된다 또한 신축 및 노후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효율 향상과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통해 도시 에너지 소비 절감도 도모한다
공공부문은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를 통해 매년 감축 실적을 평가받고 있으며 외부감축사업과 기준배출량 조정을 통해 실적 향상도 가능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배출권 경매 수익의 지역 환원과 정책 기반 강화가 제안되었다
계획은 온실가스 감축뿐 아니라 미세먼지 저감 에너지 복지 환경 개선 등 다양한 공동편익 창출을 지향하며 중장기 로드맵 및 통합 관리 시스템을 통한 정책 효과성 확보가 강조된다

목차

계획의 개요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특성
계획 수립 결과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