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형 공유경제 모델 개발
수탁

충남형 공유경제 모델 개발

기간
2019. 04. 23 ~ 2019. 11. 19
연구책임자
송영현
연구자
신동호,김종화,홍원표,전지훈,강수현,전춘복,최돈정
키워드
충남형 공유경제,지역공공자원,사회적 가치,시범사업,도농통합,정책방향,공유플랫폼,참여형 거버넌스
다운로드

최종보고서_충남형 공유경제-20191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지역 유휴자원을 활용해 경제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충남형 공유경제 모델을 개발했다 도농통합지역 특성을 반영해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공유경제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실현 가능한 시범사업과 추진전략을 도출했다
국내외 공유경제 정책 및 사례를 비교 분석해 충남 실정에 맞는 전략을 설계했으며 도민 500명을 대상으로 인식도와 정책 수요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는 공유경제에 대한 높은 인식과 필요성 공감에도 불구하고 실제 참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물품 인력 등 공유가능한 공공자원을 조사하여 공유 플랫폼 구축 기반을 마련했고 공유경제 추진체계 참여형 환경 조성 제도 및 자원관리 기반 지역특화 시범사업 등 4대 추진전략을 설정하였다
공유경제 시범사업은 교통 일자리 돌봄 배움 문화관광 분야에서 발굴되었으며 각 분야별 특성과 실현 가능성을 종합해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대표적 사례로는 공유형 창업공간 공유주차장 공유농기계 등이 있다
거버넌스 체계는 중앙정부 충남도 시군 민간단체 주민 등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구축하며 정책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중간지원조직 및 전담부서 설치도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공유경제 초기 단계에 있는 충남이 지역 특성과 도민 수요에 기반해 정책적 방향성과 실천 전략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관련 제도 정비 및 정책 실행을 통해 공유경제가 생활 속에 자리 잡는 것이 목표다

목차

Ⅰ 과업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 과업의 범위
3 성격 및 특징
4 연구방법 및 기대효과
Ⅱ 이론정책적 배경
1 공유경제의 개념 및 내용
2 공유경제 현황 및 전망
3 중앙 및 지자체 정책동향
4 종합 및 시사점
Ⅲ 충남 공유경제 추진 현황
1 추진배경
2 도시군 공유경제 정책 현황
3 주요 공유경제 사업 현황
4 뉴스데이터를 통한 정책이슈 분석
5 공유가능 공공자원 현황
6 성과 및 한계
Ⅳ 국내외 사례분석 및 도민 의견조사
1 국내외 주요 사례
2 도민 의견조사
3 종합 및 시사점
Ⅴ 충남형 공유경제 모델 구축방향
1 기본방향
2 비전체계
3 세부 실천사업
4 집행관리계획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