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국내 합동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현안

국내 합동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기간
2022. 12. 06 ~ 2023. 01. 13
연구책임자
임재영
연구자
임성수,김진영,안수용
키워드
경제효과,충청남도,기업입주,건설효과,운영효과,지역투입산출모형,노동생산성,MRIO표
다운로드

도내 5개 시군 13개 업체 입주의 경제효과 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내 5개 시군에 13개 기업이 입주함에 따라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이 보고서는 입주의 영향을 건설효과와 운영효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건설효과는 기업 설비 구축을 위한 투자로 인해 단기간에 지역 및 전국 단위에서 발생하는 생산 고용 부가가치의 일시적 증가를 의미하며 3068억 원의 투자로 전국적으로 약 8721억 원의 생산 유발효과와 3068명의 고용 효과가 발생한다
반면 운영효과는 기업이 본격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중심의 경제효과로 이는 해당 지역의 장기적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보고서는 노동생산성을 기반으로 운영효과를 산정했으며 입주 기업들이 매년 약 4404억 원의 생산과 1433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지역투입산출표IRIO와 충남 MRIO 표를 활용해 지역별 산업구조와 생산함수를 반영한 경제효과를 계산하였으며 자료의 현실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동생산성 가정이 활용되었다 다만 소비 등 부수적 파급효과는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운영효과 분석 시 실제 조사자료 부족으로 동일 업종 내 생산성 가정이 불가피하게 적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 건설효과보다 지속적 운영효과가 해당 시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며 기업 유치정책은 장기적 고용 및 소득창출 효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분석 결과는 향후 유사 사업 평가 및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도내 5개 시군 13개 업체 입주 개요
제2장 지역 내 기업입주의 경제효과
제3장 지역계정을 이용한 경제효과 분석
1절 지역계정으로서 지역투입산출표의 유형과 구조
2절 기업입주의 경제효과 분석과정
제4장 경제적 효과 분석결과
1절 건설효과
2절 운영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