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반면 운영효과는 기업이 본격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 중심의 경제효과로 이는 해당 지역의 장기적인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보고서는 노동생산성을 기반으로 운영효과를 산정했으며 입주 기업들이 매년 약 4404억 원의 생산과 1433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의 지역투입산출표IRIO와 충남 MRIO 표를 활용해 지역별 산업구조와 생산함수를 반영한 경제효과를 계산하였으며 자료의 현실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동생산성 가정이 활용되었다 다만 소비 등 부수적 파급효과는 분석에서 제외되었고 운영효과 분석 시 실제 조사자료 부족으로 동일 업종 내 생산성 가정이 불가피하게 적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 건설효과보다 지속적 운영효과가 해당 시군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며 기업 유치정책은 장기적 고용 및 소득창출 효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분석 결과는 향후 유사 사업 평가 및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2장 지역 내 기업입주의 경제효과
제3장 지역계정을 이용한 경제효과 분석
1절 지역계정으로서 지역투입산출표의 유형과 구조
2절 기업입주의 경제효과 분석과정
제4장 경제적 효과 분석결과
1절 건설효과
2절 운영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안수용
부여군 재정진단 및 세출효율화를 위한 연구용역 2023. 09. 01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대기업 2개 사) 2022. 10. 20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18개 사) 2022. 09. 14
충청남도 갈등관리 실태조사 및 유형화 연구 2007. 01. 01
아산시 도시공원 특례사업 추진에 관한 기초 연구 2016. 08. 16
-
김진영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2013 충청권 경제교육 전임강사 역량강화 워크숍 (김진영,남서진) 2013. 10. 21
충남지역 중소기업 CEO 경제아카데미 (유철수,김화진,김진영) 2009. 12. 23
(CNI세미나 2022-005)'충남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마련'워크숍 2022. 04. 08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
-
임성수
천안시 기업유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21. 10. 13
부여군 재정진단 및 세출효율화를 위한 연구용역 2023. 09. 01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대기업 2개 사) 2022. 10. 20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2022. 03. 01
충청남도 도민참여예산제 운영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 2021. 0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