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현안

국내 투자협약 기업의 경제효과 분석

기간
2022. 03. 01 ~ 2022. 03. 31
연구책임자
최웅선
연구자
임재영,김진영,임성수
키워드
OLED,건설효과,운영효과,충남,지역투입산출모형,노동생산성,지역계정,경제파급효과
다운로드

도내 10개 시군 23개 업체 입주의 경제효과 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내 10개 시군에 입주한 23개 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이 보고서는 기업 입주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건설효과와 운영효과로 나누어 평가한다 건설효과는 입주 초기의 설비 구축 및 건축 활동으로 인한 단발적인 효과이며 운영효과는 기업이 생산활동을 지속하면서 발생하는 지속적 효과로 지역경제에 장기적 영향을 미친다
건설효과 분석 결과 총 4848억 원의 투자에 따라 충청남도 내에서 약 6556억 원의 생산 유발 2428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3565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약 1조 3775억 원의 생산 4848억 원의 부가가치 5926명의 고용을 유발한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입주기업의 활동이 광역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운영효과는 해당 기업들이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한 후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효과를 의미하며 1270명의 신규 고용을 바탕으로 연간 약 8298억 원의 생산과 2508억 원의 부가가치가 충남 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천안과 아산 당진 등 주요 입주시군에서 효과가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분석은 한국은행의 지역간 투입산출표IRIO와 충남 MRIO표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각 기업의 고용계획과 업종별 평균 노동생산성을 이용해 산출되었다 현실적 한계로는 기업별 실제 투입산출 데이터를 직접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으나 지역계정 기반 분석으로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보고서는 건설효과보다 운영효과가 지역 내 지속가능한 경제활동 측면에서 더 중요함을 강조하며 기업 유치 시 단기적 투자유치보다 장기적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고용 증가와 지역 내 생산 증대를 통해 자족적 지역경제 구조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청남도 시군의 산업단지 및 기업유치 정책 수립에 있어 실질적인 의사결정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유사 사례에 적용 가능한 분석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목차

제1절 기업입주 개요
제2절 지역 내 기업입주의 경제효과
제3절 지역계정을 이용한 경제효과 분석
1 지역투입산출표
2 개별 입주효과 분석과정
제4절 경제적 효과 분석결과
1 건설효과
2 운영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