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수탁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13. 03. 18 ~ 2013. 12. 27
연구책임자
김원철
연구자
오용준,조봉운,김희영,유준일
키워드
부여군,대중교통계획,노선개편,교통약자,수요응답형교통,버스정보시스템,정류장개선,교통복지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26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연구는 부여군의 대중교통 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5년간계획 기준 연도 기준의 개선 방향과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인구 감소 고령화 농촌 지역의 교통 오지 문제 등을 반영해 지역 맞춤형 대중교통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기본 방향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교통 지속가능한 운영체계 교통복지 실현 등으로 설정되었다
현황 분석에서는 부여군의 지역 특성과 대중교통 운영 실태 노선망 정류장 시설 차량 상태 등을 종합 점검했다 특히 이용률 저조 노선 비효율 교통약자 접근성 미흡 등 구조적인 문제점들이 도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주민 설문조사와 수요 예측 모델을 통해 개선 필요 영역을 구체화했다
계획 수립 방향으로는 기존 농어촌버스 중심 체계의 재편 탄력 배차제 확대 소형버스 활용 지간선 체계 도입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 정류장 시설 개선 등이 포함됐다 수요응답형교통DRT을 도입하여 거동 불편자 및 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권 보장도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또한 교통약자와 오지 주민을 위한 별도 교통수단 확보 저상버스 도입 특별교통수단 확대 환승시설 보강 등이 교통복지 정책으로 제안되었다 환경 측면에서는 자전거 연계 인프라 조성 친환경 교통 수단 유도 등도 계획에 반영되었다
교통수요관리 측면에서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요금 단일화 정보제공 강화 민간 운영자와의 협력체계 강화가 검토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투자 계획과 연차별 시행 전략도 제시되었다 총 투자 규모와 재원 조달 방안은 현실적인 재정 여건을 고려해 국도비 지방비 매칭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이 계획은 단순한 인프라 확충에 그치지 않고 주민 중심의 서비스 개선 운영 효율화 지속가능한 재정 구조 구축 등을 통해 부여군의 지역 교통체계를 균형 있게 개선하고 실질적인 교통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 로드맵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계획의 개요 1
제2장 대중교통 현황 및 문제점 7
제3장 대중교통 여건 전망 및 교통수요 예측 41
제4장 대중교통 정책의 추진 성과 분석 69
제5장 비전 및 정책목표 79
제6장 대중교통수단 개선 및 시설 확충 방안 93
제7장 대중교통서비스 향상 및 경쟁력 강화 115
제8장 교통약자교통오지 대중교통이동편의 증진방안 151
제9장 교통수요 관리 및 대중교통기반조성 169
제10장 투자사업 계획 및 재원 조달 방안 179
부록 187
농어촌버스 노선도 189
버스정류장 현황 239
대중교통서비스 만족도 설문지 277
충청남도 교통위원회 심의의견 조치 결과 280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