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예산군의 대중교통은 농어촌버스에 의존하는 구조로 노선 중복 배차 간격 과다 낮은 승객 수요 열악한 정류장 환경 등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특히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서비스 개선 요구가 높았고 승용차 의존 경향이 강해 대중교통 수요 기반이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통행 실태 분석과 수요 예측을 통해 다양한 개선 시나리오가 제시되었다
연구는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버스운행체계 개편 탄력배차제 도입 지간선 체계 적용 수요응답형 교통DRT 도입 등을 제안했다 또한 실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 버스정보시스템BIS 구축 환승시설 및 정류장 개선도 함께 추진하도록 했다 교통약자와 오지 거주민을 위한 특별교통수단 확대도 주요 과제로 포함되었다
교통수요 관리 측면에서는 승용차 이용 억제를 위해 자전거 연계시설 확충 주차장 계획 개선 환경친화적 교통수단 유도 등도 계획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지역 맞춤형 수단을 통해 도심과 농촌 간 균형 있는 교통복지를 실현하고자 하며 주민 중심의 이동환경 개선을 지향한다
계획 이행을 위한 투자계획과 재원 조달 방안도 구체화되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781억 원 규모의 교통 관련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이 중 38는 대중교통과 물류 부문에 투자된다 예산군 자체 재원과 국비도비 매칭을 통해 실행 가능성을 확보했고 운송업체 적자 보조를 제외한 실질적 인프라 확충 중심의 예산이 책정되었다
종합적으로 이 계획은 예산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현대화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정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교통약자 배려 서비스 수준 향상 친환경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지역 주민의 생활 편의 향상과 균형 있는 교통 접근성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로써 예산군은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교통체계를 바탕으로 중장기적 발전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목차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3
1 계획의 배경 3
2 계획의 목적 3
2 계획의 범위 4
1 공간적 범위 4
2 시간적 범위 5
3 내용적 범위 5
3 계획의 수행과정 6
제2장 대중교통 현황 및 문제점 7
1 도시 현황 9
1 지역현황 9
2 사회경제지표 11
2 도시교통 현황 14
1 교통망 체계 14
2 교통 현황 17
3 대중교통 현황 20
3 대중교통이용실태 및 문제점 30
1 통행 특성 30
2 대중교통 이용실태 및 개선사항 31
제3장 대중교통 여건 전망 및 교통수요 예측 37
1 상위 및 관련계획 39
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20112020년 39
2 국가 기간교통망 계획20002019년 제1차 수정 41
3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20122016 42
4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12020 43
5 제2차 도로정비기본계획20112020 44
6 제1차 지속가능 국가교통물류발전 기본계획20112020 45
7 제3차 중기교통시설투자계획20112015 45
8 제3차 충청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 46
9 예산군 기본계획 변경3차 20092020 50
2 사회경제 지표 전망 54
1 계획인구 설정 54
2 예산군 산업구조의 전망 59
3 교통수요 예측 60
1 교통수요 추정방법 60
2 장래 교통수요 예측 60
제4장 대중교통 정책의 추진 성과 분석 65
1 추진정책 67
1 2009년도 대중교통정책 67
2 2010년도 대중교통정책 67
3 2011년도 대중교통정책 69
4 2012년도 대중교통정책 72
2 추진성과 74
1 평가절차 74
2 평가결과 75
제5장 비전 및 정책목표 77
3 중앙정부의 계획 및 시사점 79
1 중앙정부 계획 79
2 시사점 83
4 예산군 비전 및 정책목표 85
1 예산군 발전여건 분석 85
2 비전 및 정책목표 86
3 추진전략 87
제6장 대중교통수단 개선 및 시설 확충 방안 89
1 적정 대중교통수단 검토 91
1 대중교통수단 검토 필요성 91
2 대중교통수단 검토 전략 91
3 대중교통수단 검토 기준 91
4 적정 대중교통수단 검토 결과 94
2 대중교통 환승시설 확충 95
1 환승시설 확충 필요성 95
2 환승시설 확충 전략 95
3 환승시설 유형 및 구축 기준 96
4 환승시설 확충 방안 98
3 정류장시설 개선 100
1 정류장시설 개선 필요성 100
2 정류장시설 개선 전략 101
3 정류장시설 설치 기준 101
4 예산군 버스정류장 개선 방안 107
제7장 대중교통서비스 향상 및 경쟁력 강화 115
1 버스운행체계 개편 117
1 버스운행체계 개편의 필요성 117
2 버스운행체계 개편 전략 118
3 버스운행체계 개편 방안 118
2 탄력배차제 확대 125
1 탄력배차제 확대의 필요성 125
2 탄력배차제 운영 수범사례 125
3 예산군 탄력배차제 확대 방안 127
3 지간선체계 도입 128
1 지간선체계 도입의 필요성 128
2 지간선체계의 개념 128
3 지 간선체계 운영 수범사례 130
4 예산군 지 간선체계 도입방안 131
4 버스정보제공체계 구축 132
1 버스정보제공체계 구축의 필요성 132
2 버스정보제공체계의 개념 및 구성 요소 133
3 버스정보제공체계 도입 수범사례 134
4 예산군 버스정보체계 구축 방안 136
수 대중교통운영체계 개선 137
1 대중교통운영체계 개선의 필요성 137
2 대중교통운영체계의 종류 138
3 대중교통운영체계 개선 수범사례 139
4 예산군 대중교통운영체계 개선 방안 146
제8장 교통약자 교통오지 대중교통이동편의 증진방안 147
1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방안 149
1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의 필요성 149
2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 전략 157
3 교통약자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 개선 방안 157
2 교통오지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방안 160
1 교통오지 대중교통 이동편의 증진의 필요성 160
2 수요응답형교통체계의 개념 160
3 수요응답형교통체계 운영 수범 사례 162
4 예산군 수요응답형교통체계 도입 방안 163
제9장 교통수요 관리 및 대중교통기반조성 165
1 교통수요 관리 167
1 교통수요 관리의 필요성 167
2 교통수요관리의 개념 및 유형 167
3 교통수요관리 정책 168
4 예산군 교통수요 관리 방안 170
2 자전거 연계시설 확충 172
1 자전거 연계시설 확충의 필요성 172
2 예산군 자전거 연계시설 확충 방안 172
제10장 투자사업 계획 및 재원 조달 방안 173
1 투자사업계획의 수립 175
1 투자계획 총괄 175
2 부문별 투자계획 176
2 투자재원 조달 방안 177
1 재정현황 177
2 재정규모 전망 177
3 재원조달 방안 179
부록 181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봉운
국가해양정원 조성방안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17-081) (최덕림,조봉운) 2017. 07. 11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
오명택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충남리포트-166호-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과제와 전략 2015. 05. 01
서산·당진·태안 생활권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당진시) 2015. 03. 24
-
김원철
충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발전방안 세미나 (CNI세미나2017-013) (김원철, 강상철) 2017. 03. 10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 세미나(조준한,김재열,김원철) 2016. 07. 27
국도77호선 조기건설 논리개발을 위한 시도 협력 세미나(김원철,이영주,이상국) 2015. 05. 20
충남 교통체계진흥화사업 발전방향 세미나(이주일, 류창남, 김원철) 2015. 04. 29
인구감소시대의 공공서비스 효율화 방안(조미형,정혜민,김원철,김재열) 2014. 03. 06
지역실정을 고려한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도입운영 및 모니터링 방안 워크숍(김원철,박준태) 2016. 04. 01
-
심학식
충청남도 농어촌지역 버스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2012. 02. 01
지방자치단체의 경관관리 제도 및 운영개선 방안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09. 01. 01
[디자인 정책연구] 충청남도 경관심의 개선방안 연구 2015. 04. 06
서천군 경관조례 제정 방안 2012. 02. 24
충남옥외광고가이드라인 수립 2014. 07. 01
-
유준일
교통흐름을 고려한 교통약자 우선신호 운영방안 연구 2013. 01. 01
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 2012. 10. 25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2012. 10. 25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2014. 01. 01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8
청양읍 중심상권 활성화사업 연구용역 2013. 03. 20
-
왕소영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2012. 10. 25
충남 사회적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2011. 01. 01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2014. 01. 01
『충남스포츠센터』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2017. 05. 11
『축구장』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7. 09. 01
-
김희영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모델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2012. 02. 01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8
제1차 충청남도 산지관리지역 계획수립 연구용역 (2014~2017) 2013. 06. 04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상공인 정책금융 지원에 관한 연구 2012. 01. 01
내포신도시 정체성 제고 및 차별화방안 마련을 위한 선행 연구 2012. 02. 13
-
심정보
당진 면천 역사문화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1. 03. 24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충청남도 성곽문화재의 효율적 보존관리방안연구 2003. 01. 01
충청남도 중요무형문화재의 지정 및 관리 개선방안 2003. 01. 01
충청남도 매장문화재 관리실태 현황분석 2001.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