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 내에는 다양한 유형의 지역자산이 존재하지만 주거복지와의 연계 활용은 미흡했다 지역기금 건축재료 교육연구자산 사회적 자산 등의 통합적 활용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주거빈곤층의 실질적 지원이 요구된다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지역자산의 적극적 활용과 주민 주도의 사업 추진 공동체 형성을 통한 자립 기반 확보가 효과적이었다 특히 자발적 참여와 협력을 통한 순환 구조가 지속 가능한 모델로 작동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충남 해비타트 모델은 지역재료 지역펀드 건축학교 사회적 자산을 기반으로 주거환경 개선과 주거복지 프로그램 등을 통합하여 추진하는 구조다 사업 추진 시 공동체 건축가와 건축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며 주민 교육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프로그램도 함께 설계되었다
모델의 성공적 적용을 위해 민관 협력기구 설치 다양한 재원 확보 관련 조례 제정이 요구된다 특히 공공과 민간 주민의 삼자 협력구조 형성이 중요하며 지역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남형 해비타트 모델은 이상적 개념에 그치지 않고 실천 가능한 정책으로 구현되어야 하며 지속적 관심과 후속 사업 후속 연구를 통해 자립적 주거공동체의 정착이 기대된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연구 목적
기대효과
2 연구범위 및 방법
연구범위
연구방법
3 연구의 추진과정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II 관련이론정책동향 및 사업추진 실태
1 지역자산과 해비타트
지역자산
해비타트
지역자산의 활용과 해비타트
2 해비타트 관련 지역자산 현황
지역기금자산
건축자재
교육연구자산 건축학교
사회적 자산
시사점
3 해비타트 대상 주거빈곤가구 실태 및 특성
물리적 측면에서의 주거빈곤가구의 규모 및 특성
주거비지불능력 측면에서의 주거빈곤가구의 규모 및 특성
우선적 정책대상 가구의 규모 및 특성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4 해비타트 관련 국가 및 충청남도 차원의 주거개보수정비사업 동향 및 현황
관련 주거개보수정비사업 동향
주거개보수정비사업 현황
관련 주거 개보수정비사업의 시사점
III 해비타트 및 주거공동체 만들기 사례
1 조사분석 틀의 설정
2 국외사례
해비타트 쿠바Habitat Cuba
인도네시아의 캄풍개선사업
미국 CDCs
영국 주택협회
3 국내사례
한국해비타트 서울지회 집고치기 사업
한국 해비타트 경기북부지회 집고치기 사업
천안아산지회 희망의 집짓기 사업
두꺼비하우징
장수마을
4 사례종합
IV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모델 및 적용방안
1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개념 및 모델
모델 정립의 필요성
개념 목표와 비전
모델의 구성요소와 내용
2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모델의 적용 기본방향 및 적용절차
적용 기본방향
적용절차
3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모델의 적용방안
지역자산의 활용방안
해비타트 사업
4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모델의 적용과제
조직적 측면 추진기구 및 체계
재원적 측면
법제도적 측면 지원제도
V 결론 및 정책건의
참고문헌
부록 1 전문가 및 주민 설문조사지
부록 2 설문조사 분석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봉운
국가해양정원 조성방안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17-081) (최덕림,조봉운) 2017. 07. 11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
오명택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충남리포트-166호-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과제와 전략 2015. 05. 01
서산·당진·태안 생활권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당진시) 2015. 03. 24
-
송지현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마전권역 거점면 소재지 마을 종합개발사업 기본계획 용역 2010. 03. 30
장곡지구 테마학습장 조성사업 2011. 08. 10
당진-대전 및 서천-공주 고속도로 주변지역의 여건변화와 발전전략 2009. 01. 01
도시재생정책의 제도화에 대응한 충남의 도시재생방향과 추진과제 2012. 01. 01
충청남도 지역균형발전정책의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2011. 01. 01
-
김혜승
충청남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2022. 03. 01
충남도 사회통합 실태 분석 및 정책 과제: 외국인근로자, 결혼이주자,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2020. 02. 13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충남 주택정책 방향 2010. 01. 01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2023. 02. 09
전원주택단지 조성 실태 및 정책과제 - 전원마을 2016. 01. 01
-
손나경
예산군 전통시장 활성화 연구용역 2012. 12. 07
예산군 장항선 폐철도부지 활용방안 연구용역 2012. 05. 10
청양읍 중심상권 활성화사업 연구용역 2013. 03. 20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2012. 10. 25
-
박철희
도민 문화향유 기회 확대방안 세미나 (이형호, 조한영, 이선철, 박철희) 2016. 12. 26
2014 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박철희,김승근) 2014. 11. 2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충청남도 이미지 실태조사 연구 2009. 01. 01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7. 11. 15
-
오용준
국정과제(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향)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89) (오용준) 2017. 07. 28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6. 05. 12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사람 중심의 도시 만들기』 공동세미나(오용준, 윤두원) 2015. 07. 03
충청권발전특별법(안) 입법추진 관련 1차 워크숍(오용준) 2007. 05. 01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
-
박신영
[정책연구]충남 농촌 주거환경 개선 방안 2016. 03. 01
전원주택단지 조성 실태 및 정책과제 - 전원마을 2016. 01. 01
아산 배방 월천지구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수환경 영향평가 연구 2019. 04. 29
2007 시도연구원 총회자료 2007. 12. 31
열린충남38호 2007. 03. 01
-
김희영
예산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수립 (2012~2016) 연구 2012. 07. 30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8
제1차 충청남도 산지관리지역 계획수립 연구용역 (2014~2017) 2013. 06. 04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상공인 정책금융 지원에 관한 연구 2012. 01. 01
내포신도시 정체성 제고 및 차별화방안 마련을 위한 선행 연구 2012. 0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