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사업은 서천군이 직접 시행하며 관광정보센터 역사문화관 야외광장 체험학습 플라자 등을 포함하는 복합공간으로 구성된다 시설은 어린이 청소년 노인 등 지역 주민의 이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주변 전통시장 미디어센터 특화거리와의 연계를 통해 지역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한다 총 사업비는 35억 원으로 국비와 군비를 통해 조달되며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사업 추진을 위한 부지 확보는 KORAIL의 매각 가능 통보에 따라 가능하며 토지이용규제는 없고 지역주민과 토지소유자의 동의도 확보되었다 장항읍 주민과 전문가들은 도시재생대학 워크숍 공청회 등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문화공원 벽화사업 어린이 문화거리 체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
본 사업은 미디어센터 미곡창고 선셋페스티벌 등 기존 사업들과 연계되며 지역주민 고용 창출에도 기여한다 직접 고용 외에도 음식특화거리 어린이 프로그램 전시관 운영 등에서 간접 고용이 이루어지며 관광객 유입에 따른 소비 지출도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유발효과는 전국 기준 56억 원 고용유발은 36명 규모다
도시계획도로 개설 주차장 조성 등 생활기반시설도 병행되며 주민 삶의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도시재생지원센터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와 주민 참여 프로그램 운영으로 사업의 자립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국립생태원 국가생태산업단지 등과 연계한 관광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함께 추진된다
결론적으로 장항화물역 리모델링 사업은 방치된 철도시설을 문화와 관광 거점으로 재탄생시켜 지역 정체성 회복과 주민 삶의 질 향상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종합적 도시재생 모델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01 필요성
02 목적
Ⅱ 타당성
01 추진방법
02 사업내용
03 재원조달 및 연도별 투자계획
04 타부처 등 타사업과의 연계성
05 이용객 및 입주 수요 확보 가능성
Ⅲ 사업 추진 가능성
01 사전절차 이행정도
02 예상 문제점 및 대처방안 구비여부
Ⅳ 사업 지속 가능성 및 참여도
01 사업 유지관리계획 적절성
02 주민 의견수렴 전담체계 구축여부 및 각종 의견수렴 활동 실적
Ⅴ 기대효과
01 주민만족도 제고가능성 및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
02 사업내용과 기대효과간 연계성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형빈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53호 2010. 12. 01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아산시·충남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년 전국체전 유치, 그리고 아산의 재도약' (장인식,임형빈,임준홍,백운성) 2011. 12. 20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
한상욱
중부 농축산물류센터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관계자 워크숍(한상욱) 2016. 01. 08
충남발전연구원 생활권 연구회 1차 워크숍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계획수립방안 모색 워크숍'(정규재,한상욱) 2015. 01. 08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3년도 제2회 소도시연구회 '지속가능한 읍면소재지 활성화, 주민의 힘으로' (한상욱,오형은) 2013. 04. 16
소도읍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김정연,한상욱,박종철,정영덕,권오혁,박시현) 2002. 07. 04
충남발전연구원 생활권 연구회 2차 워크숍 '지역개발지원법 시행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관련 계획 수립방안 모색 워크숍'(한상욱) 2015. 01. 13
-
김진섭
근로자 종합복지관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3. 11. 14
청양읍 중심상권 활성화사업 연구용역 2013. 03. 20
충청남도 도서발전 종합계획 수립용역 2013. 03. 12
공주고도보존육성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조사 2014. 01. 03
부여고도보존사업 기본계획 적정성 재검토조사용역 2014. 01.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