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2016년 서해안 연안환경측정망 모니터링 연구용역
수탁

2016년 서해안 연안환경측정망 모니터링 연구용역

기간
2016. 02. 23 ~ 2016. 12. 23
연구책임자
윤종주
연구자
최진하,이상신,신우석,김동혁,표정기,최원근,윤영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안역의 각종 오염원의 유입환경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깨끗한 연안환경의 지속적인 보전정책의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도내의 주요 해양정점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해양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해양환경 중 기초적 자료인 해수에 대한 수질 해저퇴적물 및 해양생물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해양수질 퇴적물 주요 해양생물에 대한 해양환경현황 오염원을 평가하였다



본 과제의 지속적인 추진을 통하여 충청남도 연안해역에 대한 지속가능한 환경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장기적으로는 해수면 상승 해양산성화 이상 해황 등의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내의 해양환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는데 본 과업의 목적이 있다

목차

제 1 장 연구 개요 3
제 2 장 연안환경측정망 배경 및 목적 7
21 연안환경측정망 배경 및 목적 7
211 연안환경측정망 배경 7
212 연안환경측정망 목적 7
22 연안환경측정망 내용 8
221 조사 정점 선정 8
222 조사시기 및 조사항목 9
23 법적근거 11
231 관련 법령 11
232 상위계획 및 관련계획 12
제 3 장 해양환경 조사 15
31 조사 개요 15
311 공간적 범위 15
312 시간적 범위 15
313 내용적 범위 15
32 조사 방법 17
321 시료 채취 방법 및 분석 17
322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23
323 회수율 30
33 조사 결과 34
331 해양 수질 34
332 해양 퇴적물 109
333 해양 생물 내 중금속 178
334 국가 항만환경측정망 수질 현황충남지역 183
335 국가 연근해환경측정망 계절별 수질 현황충남지역 184
제 4 장 정보공개 시스템 연계 191
41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 191
411 국가해양환경정보통합시스템 191
412 자료 제공 기관 192
42 국가해양환경통합정보시스템 제공 자료 소개 192
421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환경측정망 192
422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수질자동측정망 192
423 해양환경관리공단 하구역 해양수질자동측정망 193
424 해양환경관리공단 정기운항선박을 이용한 해양수질자동측정망 193
424 국립수산과학원 정선해양조사 194
425 국립수산과학원 연안정지해양조사 194
426 국립수산과학원 실시간 어장환경 195
427 국립해양조사원 연안정지관측 196
428 국립해양조사원 조석관측 196
429 국립해양조사원 실시간 연안정보 196
4210 기상청 부이기상관측 197
43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자료 연계 방안 198
431 연계 방안 198
432 기대 효과 198
433 향후 계획 198
제 5 장 충청남도2016년 연안 이변 이벤트 발생 201
51 천수만 고수온 및 빈산소 현상 관련 양식어 폐사 201
511 충청남도 양식장 현황 201
512 천수만 내 고수온 현상과 양식어 집단 폐사 발생 202
513 천수만 고수온과 빈산소와의 상관관계 203
514 천수만 양식어 폐사를 줄이기 위한 방안 모색 208
515 종합평가 211
52 하구역을 비롯한 육상기인 오염원 관리 방안 212
521 충청남도 연안 하구 방조제 현황 215
522 충남 연안하구역 중 주요 방조제 내 오염특성 219
523 충청남도 연안 환경오염문제와 하구역 방조제 육상기인 오염물과의 관련성 229
524 종합평가 231
제 6 장 차년도 연안환경측정망 운영계획 개선안 235
61 정점별 조사항목 대폭 추가 235
62 정점별 지점 적합성 평가 238
63 특정 이벤트 조사 실시 검토 238
631 천수만 빈산소 발생 모니터링 238
632 육역 담수호하구호의 오염수 및 오염퇴적물 방류 영향 분석 239
633 화력발전소 온배수 확산 영향 모니터링 239
64 보고회 자문의견 반영 사항 243
참 고 문 헌 247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