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신남방교류회'  제2차 세미나(CNI 세미나 2024-81)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남신남방교류회' 제2차 세미나(CNI 세미나 2024-81)

기간
2024. 11. 08 ~ 2024. 11. 08
연구자
김양중,홍원표,전춘복,김용현,박경철,김진기,이종윤,윤향희,이민정,김영수,노점환
키워드
할랄인증,한국할랄인증원,인도네시아,무슬림시장,인증절차,수출지원,업무협약,Halal Summit
다운로드

충남신남방교류회 제2차 세미나자료집(5).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충남신남방교류회 제2차 세미나자료집(6).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신남방교류회 제2차 세미나는 인도네시아의 할랄 인증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의 인증 참여 현황과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동향을 공유하고자 개최되었다 세미나에서는 한국할랄인증원의 이현성 박사가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제도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한국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인도네시아 BPJPH와의 상호인증 체결로 인해 해당 인증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이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증 절차와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한국할랄인증원KHA은 2015년 설립 이후 다양한 국제 협약과 기준 제정을 통해 국내외 할랄 인증을 확대해왔다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기준을 수립하고 있으며 현재 30여 개국 이상과 상호 인증 또는 업무 협약을 맺고 활동 중이다 인증 절차는 신청 문서 및 현장 심사 교육 검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증 후에도 사후 관리 및 갱신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KHA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무슬림 다수 국가의 엑스포에 참여하며 한국 제품의 수출 확대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지역 농가와 협력하여 할랄 인증을 기반으로 수출 상담을 진행하고 다양한 기업과 지자체와의 업무 협약을 통해 인증 확대와 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무슬림 친화 관광 할랄 식품 화장품 등 소비재 전반에서 인증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충청남도 및 국내 기업들에게 할랄 시장 진출의 필요성과 현실적인 인증 전략을 공유하고 정부와 지역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계기를 제공했다 할랄 인증은 단순한 종교적 기준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품질과 안전의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지속적인 정보 공유와 정책 연계가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목차

01 소개
인사말
조직도
KHA 인증원 안내
KHA 연혁
02 기준및인증안내
Korea Halal 기준 규격
인증 진행절차
인증 검증과정
인증검증내용
문서심사및현장심사
할랄공정코드
03 대외적업무내용
KHA Halal 지원팀구성
인증제품모델및유형
농가방문과지자체세미나
업무협약과정과내용
04 복지등행사내용
Halal Summit과Expo
주요교차인증국가및단체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