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세미나 (1,431)
더보기보고서>연구정책조성/포럼
제26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162)(양갑용,김명아,김수한)
ㅁ 세미나 주제 중국 19차 당대회 이후 한중 지방간 경제교류 활성화 방안 모색ㅁ 추진배경 및 목적 사드 이후 경색된 한국과 중국의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방 및 도시간 협력 방안 모색ㅁ 일정 2017년 12월 13일수 13시30분 18시10분ㅁ 장소 충남연구원 4층 대회의실
보고서>연구정책조성/심포지엄
서해안권 해양수산 공동상생 발전을 위한 토론회(CNI세미나2017-167) (양창모,강길모,전승수)
서해안권 해양수산 토론회
보고서>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청남도 블루카본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CNI세미나2017-164)(신우석,류종성,정익교,안지환)
일시 2017년 12월 07일목 14001700장소 한국중부발전주 보령화력본부주제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블루카본 활성화 모색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남형 도시재생정책 추진방향 모색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161)(장윤배,변혜선)
일시 2017년 12월 6일수 16시18시장소 충남연구원 1층 회의실목적 새정부 도시재생뉴딜 사업과 연계하여 충남형 도시재생 정책 추진의 필요성을 함께 고민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남미래마을연구회 제3차 세미나(CNI세미나2017-158) (이나바 미츠쿠니, 주형로)
일시 2017년 12월 5일화 10301700장소 홍성환경농업교육관주최 충남연구원 환경농업단체연합주관 마을학회 일소공도
보고서>연구정책조성/심포지엄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세미나는 양국의 사회적 가치 창출형 산업의 성장과 협력을 바탕으로 학술 교류 실무 토론 현장 방문을 통해 사회경제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를 목표로 개최되었다 한국 충청남도 연구원과 상하이 교통대 간 협약을 기반으로 공동 주최되었다주요 참가자는 한국과 중국의 사회경제 분야 전문가와 사회적 기업 대표 약 30여 명으로 한중 양국의 정부 관계자 연구기관 대학교 및 민간단체 인사들이 포함되었다 행사 장소는 상하이 교통대학교였다첫째 날은 개막식 이후 국가 거버넌
보고서>연구정책조성/워크숍
서해안 유류사고 대응 방향모색 워크숍(CNI세미나2017-157)(임운혁,문승일,박명숙,김도균,이성태)
주제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 10주년 맞이 향후 대응방향과 과제 발굴일시 2017년 12월 4일월 14001720장소 충남연구원 4층 회의실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남경제학회 충청지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CNI세미나2017-159)(김기희,백운성,설영훈 외)
고향세 제도는 지역 간 재정 격차 완화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논의되었으며 일본의 고향납세제도를 참고해 다양한 입법 시도가 이루어졌다 제1820대 국회에서 총 12건의 의원입법안이 발의되었고 문재인 정부는 이를 국정과제로 추진했다한국형 고향세는 기부금 성격이 강하며 세액공제 방식에서 일본보다 기부자의 재정적 부담이 크다 이는 애향심을 더 강하게 요구하는 구조로 지자체의 재정 부담은 줄이고 기부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식이다국회에서 발의된 법안들은 기부자 범위 기부
보고서>연구정책조성/포럼
사회적경제 융복합 연속포럼 4:사회적경제와 마을교육공동체를 함께하다(CNI세미나2017-192)
본 포럼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이해와 서울 삼성고등학교 사회적협동조합 경기도 시흥시 마을교육공동체 사례를 바탕으로 충남 내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영역의 활동을 살펴보고 영역확장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함
보고서>연구정책조성/워크숍
지역밀착형 특성화상권 육성 워크숍(CNI세미나2017-155)(김영기,곽주완,최동규)
나가하마시는 도시 쇠퇴 위기 속에서 주민 주도 도시재생을 추진했다 나가하마 성 복원과 박물관 도시 구상은 도시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되었고 전문가 집단과 시민회의 상인회가 함께 시가지 정비와 전통 가옥 개량을 주도했다전통거리 조성과 문화 이벤트 개최로 관광객을 대폭 유치했으며 쿠로카베라는 제3섹터 회사가 지역의 역사적 건물을 활용해 유리공예 중심의 사업을 운영하며 중심 상권의 브랜드 가치를 높였다사쿠시는 젊은 상인 주도로 상점가 진흥조합을 설립하고 연수회와 커뮤니티
보고서>연구정책조성/포럼
제25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146)(이건웅)
주제 사드 이후의 중국문화산업 전망일시 2017년 11월 29일수장소 충남연구원 4층 대회의실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문재인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바란다(CNI세미나2017-156)(강현수)
일시 2017년 11월 28일장소 충남연구원주최 지역균형발전협의체 자문단주관 충남연구원후원 지역발전위원회
보고서>연구정책조성/포럼
충남도와 국책연구기관 간 제2차 미래이슈 공동포럼(CNI세미나2017-154)(정우성)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도정방향 모색 및 국책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를 위해 도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공동 미래이슈 포럼을 개최하고자 함
보고서>연구정책조성/포럼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일시 2017년 11월 27일 월장소 충남연구원 4층 대회의실내용 모바일 빅데이터 기반의 충남 주요축제 방문객 분석사례 발표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천안아산 지역 상권 분석사례 발표 충남 빅데이터 정책의 나아갈 길에 대한 토론
보고서>연구정책조성/포럼
제3회 마을기업연구회 워크숍-사회적경제 융복합 연속포럼3 : 사회적경제로 마을살이를 해보다(CNI세미나2017-176)(여관현,화덕헌)
일시 2017년 11월 24일 금장소 충남연구원주제 사회적경제 활동으로 마을살이를 해보다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2017 서산시지속가능발전정책 토론회(CNI세미나2017-152)(정종관)
서산시 지속가능발전정책 워크숍에서는 지역의 생활폐기물 처리문제와 관련한 갈등 해결과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공공갈등 전문가 발표와 시민참여 토론을 통해 서산시의 폐기물 문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서산시의 생활폐기물은 재활용률은 국가 평균 수준이나 소각률은 현저히 낮고 매립률은 매우 높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특히 소각시설이 없어 처리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며 자원순환을 위해 RDF 등의 대안 기술 도입이 검토되었다과거 RDF 사업은 협상 결렬로 중단되고 소각장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공론화위원회 성과평가를 통한 충남도 접목방안 모색 토론회(CNI세미나2017-148)(이희진,장수찬)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참여적 의사결정 방안을 분석했다 공공갈등의 원인을 체제 제도 문화적 측면에서 진단하며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숙의민주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참여적 의사결정 방식으로는 규제협상 시나리오 워크숍 시민배심원제 합의회의 공론조사 등이 소개되며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통한 정책결정의 정당성과 수용성을 높이는 방식들이 제시되었다신고리 56호기 공론화는 대표성을 갖춘 시민참여단을 구성하고 온라인 숙의
보고서>연구정책조성/기타
[정책공감UP] 군민 정책 대토론회(CNI세미나2017-151)
태안군민 원탁토론회는 군민 참여를 통해 태안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군정 운영에 군민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열렸다 약 300명의 군민이 참여했고 사전조사와 실시간 토론 전자투표 방식으로 군정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도출했다참가자 다수는 태안의 삶의 질을 보통으로 평가했지만 주관식 이유 분석에서는 부정적 응답이 더 많았다 부족한 의료복지 인프라 낮은 행정 만족도 소득 감소 등 지역생활 여건에 대한 개선 요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가장 아쉬운 점으로는 생활환경 분야상하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2017 충남환경회의(CNI세미나2017-150)(이지언,여형범,오동훈,이상진,박재현,이재영,유연숙,장수찬,한재각,김정수,홍수열,정종관)
충남환경회의는 주민 행정 시민사회가 소통과 숙의를 통해 환경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정책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행사 주제는 환경은 민주주의다였고 환경정책교육생태계 복원에너지 전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충청남도는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 가까이를 보유하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국 1위를 기록하는 지역이다 탈석탄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위한 에너지 전환 로드맵과 공론화 필요성이 강조되었다금강과 연안 생태계 복원 세션에서는 4대강
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
2017 제9차 충남미래연구포럼 - 베트남 지역과 충남의 교류 방안(CNI세미나2017-147)(김두원)
주요내용 베트남 현지의 현황 및 전망 충남과 베트남 지역의 교류 방안 제안일시 2017년 11월 16일 목장소 충남연구원 1층 회의실주최 충남연구원